'호모헌드레드(Homo-Hundred')
100세 시대에 내 나이는? '호모헌드레드(Homo-Hundred')는 사람을 뜻하는 Homo와 숫자 Hundred를 합쳐진 신조어 이다. 100세 장수가 보편화 되어가는 시대에 이르러, 평균 수명이 80세를 넘는 국가가 2020년 31개국으로 늘어나게 되면서 생겨난 표현이다. '호모헌드레드(Homo-Hundred')는 현대인의 나이에 0.7을 곱해야 100세 시대를 살아갈 실제 나이가 인생이 직선이 아니라 끊어지지 않는 거대한 원의 흐름 속에 있다는 생각에 동의한다. 그런 관점에서 인생에는 ‘봄-여름-가을-겨울’이 있고, 이 사이클에 맞춰 살아야 각 시기에 필요한 경험과 성숙을 얻을 예전에는 60세를 인생의 주기로 보았다. 15세에 어른이 되어 그걸로 인생의 봄을 마치고, 그다음 30세 까지가 여름, 45세까지가 가을, 그다음 60세까지 겨울을 사는 것이다. 그때는 서른이 넘으면 청년도 아니고 엄연한 중년이었다. 2019년 현재 대한민국의 평균수명은 남성 80세, 여성 85세로 평균 83세다. 현재는 '80세 인생'이 아니라, '100세 인생'을 준비해야 한다. UN은 이미 2009년에 ‘100세 시대’, 즉 ‘호모 살고 있고, 현재 50대인 사람은 과거 30대 중반과 같은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50세에 0.7을 곱하면 35세다. 50세라고 하면 통념이나 어감 상으로 꽤 많은 것 같지만 100세 시대에는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나는 이제 또 한 번의 여름을 맞기보다는 서서히 가을을 준비하는 마음으로 접어든 것 같다. 지식이 늘어났음에도 인간이 아직도 본능(유전자)에 얽매어 있듯이, 의술의 발전으로 젊게 살면서도 40 세 중반 이후에 '신체노화'와 감정의 변화를 맞이하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아직은 유전자 자체를 개조할 만큼 인간 문명이 발달하지는 못한 것이다.
할 것이다. 가을임을 받아들인다는 것이 ‘이제 다 끝났고 내리막길만 남았다’는 패배감은 아니다. 나는 다가올 중년기에도 많은 것을 기대하고 있다. 겪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모를 뿐이지, 인생은 그 나이 대에 맞는 선물을 준비해 놓고 있을 것이다.
<iframe width="620" height="349" src="https://www.youtube.com/embed/U3CMHH1nu5g"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