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은 9월 말부터 설악산 대청봉 정상에서 시작한다.
산 전체의 20%정도 단풍이 들때를 첫 단풍이라하고,
80%가 넘어서면 절정기라 한다. 단풍이 시작 되는것은
9월의 평균 기온이 1도C 낮아지면 단풍이 들기 시작한다.
가을 날씨는 안토시아닌이 생성되기에 딱 맞는 조건이다.
밤낮의 적당한 온도차과 서서히 내려가는 기온이 가꿔낸
산물이다. 가을 산하를 물들이는 단풍은 금수강산이 된다.
가을 나무들이 뽐내기하는 단풍의 향연은 낙엽으로 끝이다.
'단풍이 들어 아름답다'는 것은 우리의 주관적인 감성이다.
나무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늙어가는 슬픈 상징적인 징조다.
나무의 한해는 이렇게 봄에 꽃을 피우고, 여름에 성장한다.
한해를 고맙게 살게 해준 보답으로 단풍의 향연을 펼친다.
가을은 하늘이 높고 파랗다. 단풍은 특별한 가을의 미학이다.
나뭇잎이 그 푸르름을 간직한 것은 잎 속에 엽록소 때문이다.
엽록소는 햇빛을 화학에너니로 바꾸어 탄수화물 속에 저장한다.
뿌리로 흡수한 물이 반응해 생명활동의 에너지원이 만들어 진다.
엽록소가 탄수화물을 합성하면 잎은 충분히 흡수하고 남는 것은
온몸에 뻗은 체관을 통해 몸 구석구석으로 보내어 저장한다.
나무의 세포들은 탄수화물을 원료로 단백질, 지방, 비타민, 핵산을
만들고, 유기물을 만들어 에너지 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저장한다.
광합성이 이루어지려면 식물은 햇빛과 엄청난 양의 물이 필요하다.
가을에 기온이 떨어지고 기후가 건조해 지면, 수분이 부족해 진다.
수분 부족이 지속되면 광합성을 못해 엽록소가 조금씩 파괴한다.
잎속의 카로틴과 크산토필의 노란 색소가 단풍으로 물들게 만든다.
은행나무 잎은 크산토필이 많아 노란 색채를 강하게 드러낸다.
황금빛 노란 색을 띠는 단풍은 탄닌이란 갈색 색소가 물들인다.
나뭇잎에는 70여 종의 빛을 흡수하는 색소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단풍 칼라가 종류별로 색소의 종류와 함유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노란 단풍보다 붉은 단풍은 매혹적이고 화려한 칼라 때문이다.
단풍나무의 빨간색은 안토시아닌이란 색소가 합성되어 생긴다.
탄수화물이 잎속에서 분해되면서 빨간 색소인 안토시아닌이
만들어져 새포액에 저장됨으로 붉은 색으로 보여지는 것이다.
밤 낮의 온도차가 너무 심해도 단풍색이 곱지 않다고 한다.
붉은 단풍이 곱고 진하게 들기 위해서는 가을철 날씨가 맑고
건조 하면서 밤 낮의 온도차가 가꿔낸 산물이 붉은 단풍이다.
수분 손실을 막기위해 낙엽시키고 줄기만 남아 겨울을 난다.
- 김형자님의 과학이야기'에서 편집한 글 -
'지평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수의 일상 - 15. <영월 장릉(莊陵)을 가다. > (0) | 2020.10.26 |
---|---|
그 길에서 너를 기다릴께 (0) | 2020.10.23 |
백수의 일상 - 13. <함께 할 때 행복하다> (0) | 2020.10.21 |
백수의 일상 - 12. <'새벽 하늘에 뜬 달과 별'> (0) | 2020.10.20 |
백수의 일상 - 11. <강이천(姜彛天)의 한경사(漢京詞)> (0) | 2020.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