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곤지암 성분도 복지관 인근 숲에서 포즈를 취한 이해인 수녀.
-
깊어가는 이 가을, 무엇을 느끼고, 누가 생각나십니까? 스산한 가을에 가장 생각나는 사람으로 꼽는 대표적인 인물이 이해인(李海仁·본명은 명숙·63) 수녀다. 종교를 떠나 누구나 이해인 수녀를 찾는다. 왜일까? 정확한 답을 알고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몇 가지 가능성은 추론해 볼 수 있다.
가을이 되면 누구나 쓸쓸함을 느낀다. 추워진 날씨 탓일 수 있다. 현상적으로만 보면 그렇다. 내용과 본질을 조금 들여다보며 사색의 시간을 한번 가져보자. 세월의 흐름에 대한 아쉬움이나 나이가 한 살 더 든다는 사실에 무상함을 느껴서는 아닐까. 나아가 내재된 무의식 속에 인간 스스로의 나약함을 표출하는 한 방법이지는 아닐까. 인간은 누구나 쓸쓸함에 대한 위로의 대상을 찾는다.
-
-
인간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강하고 약한 사람들이 있을 수 있지만, 자연이나 신 앞에서의 인간은 나약하기 짝이 없는 존재다. 나약한 인간을 시로써, 산문으로써 가장 잘 표현해내 인간을 위로하는 사람이 바로 이해인 수녀인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수녀를 찾는 게 아닌가 여겨진다.
수녀는 맑고 순수한 감성을 그대로 시로 표현하는 따뜻한 감성의 소유자다. 난해한 시어나 시적인 기교도 없다. 보고 느끼는 그대로를 솔직하게 글로써 표현했을 뿐이다. 누구나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아무나 할 수 없다. 수녀의 시를 통해 한번 느껴보자. 가을에 관한 시, ‘가을 편지’다.
늦가을, 산 위에 올라 / 떨어지는 나뭇잎들을 바라봅니다. / 깊이 사랑할수록 / 죽음 또한 아름다운 것이라고 / 노래하며 사라지는 나뭇잎들 / 춤추며 사라지는 무희들의 / 마지막 공연을 보듯이 / 조금은 서운한 마음으로 / 떨어지는 나뭇잎들을 바라봅니다. / 매일 조금씩 떨어져나가는 / 나의 시간들을 지켜보듯이.
일상의 자연을 소재로 수도자로서의 삶과 시인으로서의 사색을 조화시키며 친근하고 소박한 시적 언어로 인간의 심성, 즉 순수를 그대로 이끌어내고 있다. 이를 통해 수녀는 80년대부터 시의 대중화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람들의 감성에 가장 근접한 시들이니 가능하지 않았을까.
여고 3년 때 전국 백일장에서 시 장원
- ▲ 97년 성지순례로 이탈리아 아시시 프란체스코 성당에 갔다 인근 밀밭에서.
-
수녀는 언제부터 시를, 자연을 사랑했을까? 시인이 된 수녀일까? 수녀가 된 시인일까? 수녀의 삶을 살펴보며 판단해 보기로 하자. 어릴 때부터 호기심은 누구 못지 않았다. 태어난 지 3일만에 가톨릭 세례를 받은 수녀는 초등학교 입학도 하기 전, 라디오에서 사람소리가 나오는 게 신기해 골방에 숨어 라디오를 분해하기도 했다.
글 솜씨는 초등생 시절부터 발휘됐다. 지금도 친하게 지내는 안현숙씨(배우 최민수의 장모)의 이야기를 ‘튤립꽃 같은 친구’란 제목으로 ‘사랑할 땐 별이 되고’란 글을 써 전달했고, ‘학교 가는 길’이란 글짓기로 상을 받기도 했다. 겨울 길의 플라타너스와 어린 해인이 주고받은 내용을 그린 순수하고 아름다운 이야기였다.
-
-
일찌감치 감성이 풍부한 문학소녀로서 자질을 드러냈던 것이다. 당시 어린 해인은 수녀원에 들어간 언니를 만나러 방학 때만 되면 놀러가곤 했었다. 수녀님들의 모습과 숲에서 들려오는 새 소리가 너무 정답고 사랑스러워 이 때부터 수녀 이미지가 동경의 대상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중학 시절에 본격적으로 글쓰기 작업에 들어갔다. 풍문여중 문예반에서 활동할 때 쓴 시 ‘들국화’는 아직까지 널리 사랑받고 있다.